군포시 다음 폭설대비를 위해 제설제 추가 구입...대응 매뉴얼 마련 시급

진이헌 기자 | 기사입력 2024/12/04 [08:41]

군포시 다음 폭설대비를 위해 제설제 추가 구입...대응 매뉴얼 마련 시급

진이헌 기자 | 입력 : 2024/12/04 [08:41]

군포시에 41.3cm라는 기록적인 폭설이 내린 가운데 군포시와 인근 시의 제설제 현황과 다음 폭설 대비계획 등을 알아봤다.

 

▲ 대야미 삼거리 도로에 눈이 많이 쌓여있다. (사진=진이헌) 11월 27일 촬영  © 군포시민신문


군포시는 제설제가 부족하지 않았다는 반응이다. 군포시 관계자는 12월 3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"제설제가 부족하지는 않았다. 준비한 제설제가 1,100t 이상이었는데, 900여 t 정도 소비하다보니 내년에 구매할 예정이었던 제설제를 당겨서 추가 확보해야 했다. 다만 제설 작업은 예상보다 눈이 높게 쌓여 치우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"고 말했다.

 

이어 "다음 폭설을 대비하기에는 부족한 감이 있다. 재난안전기금을 활용해 추가로 제설제를 구입하는 등 준비하겠다"고 전했다.

 

시민들 사이에서는 군포시에 대처가 늦었다는 평도 나왔다. 군포시에 바란다 민원 사이트에는 제설 작업 원활하지 않다는 민원 글이 11월 28일부터 총 8건 접수됐다. 또한 시민들은 앞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에 의해 종종 나타날 수 있는 폭설 대응 매뉴얼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. 

 

인근 시 역시 상황이 비슷했다. 안산시 관계자는 같은 날 통화에서 "이번 폭설로 43cm가량 눈이 왔고 이에 따라 제설제를 3,060t 정도 사용했다. 12월 6일에 1,500t 정도 입고할 예정이다. 추가로 2,000~2,500t 정도 확보해 다음 폭설은 대응할 예정이다"라고 답했다.

 

안양시 관계자는 이번 폭설로 제설제 약 1,500t을 사용했으며 현재 1,200t 가량 확보된 상태이다. 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비 지원금 1억 5천만 원을 사용해서 추가로 구매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"고 말했다.

 

연합뉴스의 12월 2일 보도에 따르면 성남시는 이번 겨울을 앞두고 염화칼슘 1만 624t, 친환경 제설제 1천756t, 액상 염화칼슘 1천81t 등 총 1만 3천461t을 확보했지만 3분의 1을 사용해 올해 말까지 염화칼슘 5천t을 추가 구매하기로 했고, 이천시는 올겨울 제설 작업을 위해 3천400t 분량의 제설제를 확보했는데 이번 폭설로 60%가량인 2천t을 사용하고 1천400t가량 남아 있는 상태다. 광주시의 경우 광주시는 이번 겨울에 대비해 9천74t 중 2천790t을 사용했고, 시흥시의 경우 제설제 비축량 5천200t 중 31%인 1천600t을 사용해 재난기금에서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이번 사용량만큼 제설제를 추가 구매하기로 했다.

 

한편, 한겨레신문 11월 27일 자 보도에 따르면 이번 폭설로 인해 경기도에서는 광명·시흥·안양·군포·의왕·과천·부천·김포·동두천·연천·포천·가평·고양·양주·의정부·파주·성남·구리·남양주·하남·이천·여주·광주·용인 등 24곳에는 대설주의보가 발효됐다.

 

# 독자가 내는 소중한 월 5천원 이상의 자동이체 후원은 군포시민신문 대부분의 재원이자 올바른 지역언론을 지킬 수 있는 힘입니다. 아래의 이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시면 월 자동이체(CMS) 신청이 가능합니다. https://ap.hyosungcmsplus.co.kr/external/shorten/20230113MW0S32Vr2f 

* 후원계좌 :  농협 301-0163-7925-91 주식회사 시민미디어 

 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사진기사
메인사진
철거 약 17개월 만에 다시 선 대야미역 인근 장승
1/4
광고
광고
광고